TCS 뉴스
-
3국협력활동2025 동아시아 문화도시 안성 개막식안성시가 주최하는 ‘2025 동아시아 문화도시 – 안성’ 개막식이 2025년 4월 25일 경기도 안성맞춤아트홀에서 성황리에 진행되었습니다. 3국 문화 교류 증진의 주요 관계자인 한일중3국협력사무국(TCS)도 개막식에 초청되었습니다.이번 개막식에서는 한국의 남사당 바우덕이 풍물놀이와 중국의 벼 이삭 용춤, 일본의 전통 연극 노가쿠 등 3국의 풍성한 문화유산을 보여주는 공연이 펼쳐졌습니다.한일중 3국은 2012년 제4차 한중일 문화장관회의의 합의를 바탕으로 2014년부터 매년 3국의 도시 한 곳을 ‘동아시아 문화도시’로 지정해 왔습니다. 2025년에는 한국의 안성시와 중국의 후저우·마카오시, 일본의 가마쿠라시가 동아시아 문화도시로 선정되었습니다.향후 1년간 안성시에서는 3국의 예술인이 참여하는 전통 연희 축제와 음식 경연 대회, 합동 콘서트, 청소년 교류 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문화 행사가 진행됩니다. 2025년 5월에는 주요 행사 중 하나인 동아시아 핸드메이드 축제가 경기도 안성맞춤랜드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2025 동아시아 문화도시 대표들의 단체 사진▲ 공연2025.04.25.
-
기타이희섭 TCS 사무총장, 슈리정 중국 지린성 외사판공실 부국장 면담이희섭 한일중3국협력사무국(TCS) 사무총장이 2025년 4월 24일 슈리정 중국 지린성 외사판공실 부국장과 면담했습니다.▲슈린정 부국장과 면담하는 이희섭 사무총장 이 사무총장은 동북아 지역에서 지린성이 갖는 전략적 중요성을 언급하며 지린성이 지역의 교류 협력 허브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며, 지린성이 한일중 3국 협력 증진에 기여해 왔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습니다.▲슈린정 부국장과 이희섭 사무총장슈부국장은 지린성이 한국 및 일본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은 물론 동북아시아지방정부연합 같은 협력 플랫폼을 기반으로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증진하는 데도 힘쓰고 있음을 강조했습니다.▲단체사진2025.04.24.
-
세미나 & 포럼이희섭 사무총장, 2025 중국(안양) 국제한자대회에서 연설이희섭 한일중3국협력사무국(TCS) 사무총장이 2025년 4월 20일 2025 중국(안양) 국제한자대회 개막식에서 연설했습니다. ‘한자·문명·기술·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번 대회는 중국 허난성 인민정부가 주최했습니다.▲국제한자대회 이 사무총장은 연설에서 한자는 한일중 3국이 기나긴 역사 속에서 문명을 형성하고 3국이 긴밀한 문화적, 인적 결속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한일중 문화교류의 해는 문화 교류와 대면 교류를 더욱 확대함으로써 3국의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편익을 가져다 줄 것이며, 3국 협력이라는 나무가 조화를 이루며 성장하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연설하는 이희섭 TCS 사무총장 중국(안양) 국제한자대회는 지난 2015년 처음 시작된 후 2년 주기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국제한자대회에는 각국의 저명한 기록 문자 및 한자 문화 전문가들이 모여 학술 교류와 관련 연구 성과를 논의하고 있으며 TCS는 오랜 기간 국제한자대회를 후원해 왔습니다.2025.04.20.
-
세미나 & 포럼2025 한중일 공통어휘 포럼, 중국 안양시에서 개최‘2025-2026 한일중 문화교류의 해’를 기념하는 첫 번째 공식 행사로 2025 한중일 공통어휘 포럼이 2025년 4월 20일 중국 안양시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포럼은 한일중3국협력사무국(TCS)과 허난성 인민정부 외사판공실, 안양시 인민정부가 공동 주최하고, 중국문자박물관과 일본한검한자 박물관·도서관,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가 후원하였습니다.“한중일의 공통 유산: 한자로 잇는 문화와 미래”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는 한중일 3국을 아우르는 한자의 문화적 연관성과 다양한 진화를 중점적으로 다루었습니다. 한중일 3국의 외교관, 한자 연구자, 서예가, 국제기구 대표 등이 참여하여 언어와 문화에 관한 토론을 통해 협력과 대중의 참여를 촉진하고 동북아지역의 상호 이해를 더욱 증진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희섭 TCS 사무총장은 개회사에서 한자를 통한 공통의 연결고리를 되짚어 보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동아시아에서 독특한 문화사를 공유하는 한중일 3국에게 특히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했습니다. 이 사무총장은 이러한 맥락에서 한중일 3국이 공통의 뿌리를 되새김으로써 앞으로도 함께 미래를 향해 나아갈 것을 강조했습니다.이 사무총장의 개회사에 이어 리훙타오 허난성 인민정부 외사판공실 부주임과 쉐원밍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안양시 위원회 부주석이 차례로 개회사를 전달했습니다. 개회사에 이어 우스이 마사토 주중 일본대사관 공사와 김진곤 주중 한국대사관 공사참사관이 축사를, 샤바즈 칸 유네스코 동아시아 지역사무소 소장이 영상 축사를 전달했습니다.제16회 ‘유엔 중국어의 날’을 축하하기 위해 마련된 이번 포럼에서 샤바즈 칸 소장은 한일중 세 나라의 공통 어휘가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대면 협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문화 간 대화와 교육, 다양성 존중을 통한 평화 증진이라는 유네스코의 사명을 달성하는 데도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이번 포럼에서 논의된 주제들이 3국 간 유대를 지속하는 데 일조하는 것은 물론, 세대 간의 이해를 증진하는 데도 기여하게 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습니다.이번 포럼은 개막식과 세 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세션1에서는 한중일 3국의 한자 전문가들이 모여 한중일 공통 어휘의 의의, 학술 협력 현황과 더불어 TCS가 제안한 과제를 비롯한 향후 전망에 관해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세션2에서는 한중일 3국의 젊은 연구자들의 한자 비교 연구에 초점을 두고 한중일 3국 한자 사용의 차이점과 공통점, 연구 방법론과 함께 공동 연구 및 교류 프로그램을 통한 학술 협력 강화 방안에 관해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세션3은 한중일 3국 서예가들을 초청하여 “사랑과 미래”를 주제로 한 서예 작품을 소개했습니다.2025 중국(안양) 국제한자대회의 부대 행사로 개최된 이번 포럼은 ‘2025-2026 한일중 문화교류의 해’ 및 제16회 ‘유엔 중국어의 날’ 행사와도 연계하여 진행되었습니다. TCS는 3국 간 대면 교류 증진과 지역 내 언어학자들의 협력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14년 한일중 공용 한자 808자를 선정하고 이를 알리는 활동을 진행해 왔습니다.▲ 단체 사진▲ 이희섭 TCS 사무총장의 개회사▲ 리훙타오 허난성 인민정부 외사판공실 부주임의 개회사▲ 쉐원밍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안양시 위원회 부주석의 개회사▲ 우스이 마사토 주중 일본대사관 공사의 축사▲ 김진곤 주중 한국대사관 공사참사관의 축사▲샤바즈 칸 유네스코 동아시아 지역사무소장의 영상 축사▲ 제1세션 – 한자를 매개로 한 공통의 미래▲ 제2세션 – 한자 비교 연구와 문화 간 다리 놓기▲ 제3세션 – 사랑과 미래: 국경을 뛰어넘는 붓놀림2025.04.20.
3국 정부간 협의체
3
- 참가국
1
- 정상회의
21
- 장관급 회의
70+
- 개 이상의 협의체
한중일 통계 2022
출판물
사무국에서는 연례보고서, 프로젝트
결과물, 연구보고서, 홍보책자등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최신뉴스
모두보기
언론속의 한중일 협력